본문 바로가기

설계자료/기계일반

농도, 점도 단위환산표 농도단위 단 위 % ug/ℓ ㎎/ℓ g/ℓ ppm ppb % 1 1.00E+08 10000 10 10000 1.00E+08 ug/ℓ 1.00E-07 1 0.001 0.000001 0.001 1 ㎎/ℓ 0.0001 1000 1 0.001 1 1000 g/ℓ 0.1 1.00E+07 0.001 0.000001 0.001 1.00E+07 ppm 0.0001 1000 1 0.001 1 1000 ppb 1.00E-07 1 0.001 0.000001 0.001 1 점도단위 단 위 cP P(g/㎝.s) gmf.s/㎠ lbf.s/in2 mPa-s N.s/㎡ cP 1 0.01 1.02E-07 1.45E-07 1 0.001 P(g/㎝.s) 100 1 1.02E-06 1.45E-05 100 0.1 gmf.s/㎠ 98039.2.. 더보기
국내염색가공설비관련업체 list 갑을FA 053-589-555 053-586-2549 CCK, 연폭기, 염색기, 샌딩기, 연속수세기 제조 건우염색기제작소 053-354-2481~3 053-354-2483 제트플로우염색기, 소프트플로우염색기 (주)경북기계공업 02-465-8116 02-469-818 세탁기, 건조기, 탈수기 등 세탁관련 기기 제작 판매 업체. 경원기계 053-357-6201~2 053-351-8637 카렌다기, 방추가공기, 엠보싱기, (주)경한 053-357-6201 053-351-8637 릴랙스 래피드염색기 (주)경훈기계 02-866-6142 02-862-5662 VERTICAL WINCH 염색기, VERTICAL 2 염색기,SAMPLE 염색기 (COMBI-FLOW), 새롭게 개발한 염색기로써 기계명칭은 VERTICAL.. 더보기
풍량산출 더보기
타공 참고 더보기
대기오염 제어설비 - 폐기물 소각시 이론공기량보다 과잉의 공기가 필요함 → 배기가스 처리시설의 규모가 커짐. 고분자 계열 유기화합물 : 열량이 높아 이론공기량이 많음. - 폐기물 중의 S, Cl 성분 → 발생. 폐기물, 연소가스 중의 질소 → 질소산화물 - PCDD, 수은, 카드뮴 배출가능성 - 재 : 바닥재 (bottom ash) 비산재 (fly ash) 더보기
소각로에서의 2차오염물질 - 독성유기물 : PCDD, PCDF 등 - 입자 : 부유물질 - 질소산화물, 산성가스 - 중금속 더보기
전기집진장치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1) 원리 - 직류의 특고전압 (6000~75000V)에 의해 코로나 (corona) 방전을 발생시켜 이때 발생하는 이온이 입자에 충돌하여 가스 속의 입자를 대전시킴 (방전극부) - 이 대전입자는 집진극으로 이동 후 (-) 전하를 잃고 낙하하거나 trapping 방치에 의해 호퍼로 떨어져 포집됨 (집진극부) (+)극 : 집진극 (-)극 : 방전극 2) 장점 - 집진 제거 효율이 가장 크다. (99.9 %) - 대량의 분진함유 가스처리 가능 - 압력손실이 작고, 미세한 입자까지 제거 가능 - 운전유지비, 보수비가 작게 소요됨. 3) 단점 - 소유부지 면적, 설치비가 큼. - 분진 성상에 따라 전처리 시설이 필요함. - 분진의 부하변동에 적응하기가 곤란함. 2. 소각로 내 공해물질의 생성과 제어 2.1 서론.. 더보기
여과집진기 - 여과포에 의한 포집이 진행됨에 따라 포집된 먼지층이 두껍게 되며 동시에 압력손실이 증가하므로 송풍기 능력이 감소함. - 여과포에 포집된 분진은 최고 압력손실 150 mm 전후로 탈진처리함. (간헐식/연속식) - 집진실을 3실 또는 4실로 하여 처리가스의 입구 및 출구에 댐퍼를 각각 설치하고, 압력 손실이 규정치에 도달하면 집진실의 입구 및 댐퍼를 폐쇄한 후 여과포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 - 진동형 : 여과포의 진동에 의해 포집된 분진을 분리 낙하시킴. - 역세형 : 분진 부착면의 반대방향에서 압축공기 분사 - 연속식 여과집진 장치 ․pulse-jet 형 ․sonic-jet 형 : 저주파수의 음파발생→공기진동 ․reverse-jet 형 : 원통여과포의 외측에 압축공기분사 슬리트를 부착시켜 상하로 이동시키.. 더보기
송풍기의 용어 및 단위 1. 풍량 : Q 송풍기의 풍량이란 토출측에서 요구되는 경우라도 흡입상태(표준상태)로 환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풍량이 압력, 온도에 따라 변화가 심해 어떤 일정한 기준으로 되지 않기때문입니다. 단, 압력비가 1.03이하일 경우에는 토출풍량을 흡입풍량으로 봐도 장이 없습니다. 단위는 ㎥ /sec (CMS) , ㎥ /min (CMM) , ㎥ /Hr (CMH) ft³/sec (CFS) , ft³/min (CFM) , ft³/Hr (CFH) ( 1 ㎥ /min = 3.53 ft³/min ) 단, 기준상태 ( 0℃ , 760 mmHg )로 표시된 경우에 표준상태 ( 20℃ , 760 mmHg , 65% 습도 ) 로 환산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Q : 표준상태의 흡입풍량 ( ㎥ /min ) QN : 기준.. 더보기
신명 기어드 모터 신명 기어드 감속기H/T- 구형 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