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출압력에의한 분류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압력에 따라 저압용 팬(Fan)과 고압용 블로어(Blower)로 구분합니다
송 풍 기 |
압 축 기 | |
FAN |
BLOWER |
COMPRESSOR |
1000mmAq미만 |
1,000∼10,000mmAq미만 |
10,000mmAq이상 |
-> Aq : Aqua(희랍어로 물이란 뜻입니다.)
1 mmAq = 1 kg/m²
1 mmHq = 13.6 mmAq
2. 날개(BLADE)의 형상에 따른 분류
기체의 수송 및 압축작용을 하는 회전날개의 형식에따라 송풍기는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1> 날개의 형식에 의한 분류
1. 팬(FAN)
1) 원심형
* 후곡형 ---- TURBO FAN
날개(BLADE)의 끝부분이 회전방향의 뒤쪽으로 굽은 후곡형으로 (a)와 같이 날개가 곡선으로 된 것과,
(b)와 같이 직선으로 된 것이 있습니다. 후곡형은 효율이 높고 고속에서도 비교적 정숙한 운전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터보형 송풍기(TURBO FAN)에 적용 됩니다.
|
|
(a) |
|
|
(b) |
![]() |
* 익 형 ---- AIR FOIL, LIMIT LOAD FAN
후곡형과 다익형을 개량한 것입니다. (a)는 익형 송풍기로, 박판을 접어서 유선형의 날개를 형성했습니다.
따라서, 고속회전이 가능하며 소음이 적습니다. (b)는 날개를 S자 모양으로 구부린 것으로
리미트로드팬(LIMIT LOAD FAN)이라 합니다.
다익형은 풍량이 증가하면 축동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오버로드가 됩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한 것이 익형, 또는 리미트로드형입니다.
|
|
(a) |
|
|
(b) |
* 방사형 ---- PLATE FAN
방사형의 날개로서 평판으로 되어 있습니다. 방사형은 자기청소(SELF CLEANING)의 특성이 있습니다.
분진의 누적이 심하고이로 인해 송풍기 날개의 손상이 우려되는 공장용 송풍기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효율이나 소음면에서는 다른 송풍기에 비해 좋지 못합니다.
|
|
* 다익형 ---- SIROCCO FAN
날개의 끝부분이 회전방향으로 굽은 전곡형으로 동일 용량에 대해서 다른 형식에 비해 회전수가 상당히 적습니다.
동일 용량에 대해서 송풍기 크기가 적고, 특히 팬코일유닛 (FCU)에 적합하며, 저속덕트용 송풍기로 다익형송풍기
(SIROCCO FAN)라 합니다.
|
|
![]() |
* 관류형 ---- TUBULAR FAN
관류송풍기(TUBULAR FAN)로 회전날개는 후곡형이며, 원심력으로 바져나간 기류는 그림에서와 같이
축방향으로 안내되어 나갑니다. 관류송풍기는 정압이 비교적 낮고, 송풍량도 적은 환기팬으로 옥상에 많이
설치됩니다. 이를 응용한 DUCT IN LINE FAN도 있습니다.
|
|
(b) Roof fan | |
| |
(a) cen, Roof |
(c) Duct in line fan |
2) 사류형
3) 축류형 - AXIAL FAN
* 프로펠러형
* 튜브형
* 베인형
(a)와 같이 프로펠러형의 브레이드가 기체를 축방향으로 송풍합니다.
축류송풍기는 낮은 풍압에 많은 풍량을 송풍하는데 적합합니다. 덕트시스템이 없고, 공기 기류에 대한
저항이 적은 경우인 환기팬, 소형냉각탑에는 그림 (b)와 같은 프로팰러팬 (propeller fan)이 사용됩니다.
(c)는 튜브 축류팬(tube axial fan)으로 관모양의 하우징(housing)내에 송풍기가 들어 있습니다.
이 형식의 송풍기는 덕트 도중에 설치하여 송풍압력을 높이거나 국소 통기 또는 대형 냉각탑에 사용됩니다.
(d)는 축류팬의 전후에 가이드 베인(guide vane)을 설치한 것으로, 기류를 정류하는 역할도 갖습니다.
따라서, 국소통풍이나 터널의 환기에 사용됩니다
|
|
(a) |
(b) |
|
|
(c) |
(d) |
4) 횡류형
2. 블로어(BLOWER)
1) 원심형 2) 사류형 3) 축류형
'설계자료 > 기계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동 / 인청동 (0) | 2013.02.27 |
---|---|
인버터(INVERTER) 란 (0) | 2013.02.04 |
분쇄기의 종류와 선정 (0) | 2012.10.10 |
Key CAD 도면입니다 (1) | 2012.10.10 |
▣ Flange (0) | 201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