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계자료/기계일반

인버터(INVERTER) 란

AC전원의 전압 및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변환장치를 통칭합니다.

주파수만이 아닌 전압도 가변시키기 때문에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라고도 하죠. 기본 원리는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 시킨 후, 다시 임의의 주파수와 전압을 교류로 변환시켜 전동기에 공급하므로써 전동기 속도를 고효율로 제어하게 하는 겁니다.



인버터의 내부구조는.

인버터는  PWM방식의 전압형 인버터인데 크게 콘버터부, 평활회로부, 인버터부, 제어 회로부로 나누어 집니다.

콘버터부는 3상의 상용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를 하는 곳이고 평활회로부는 이 직류전압을 안정되게 평활하고 인버터부는 이 직류전압을 고속 스위칭해 펄스형태의 교류전압으로 만드는 곳입니다. 제어회로부는 이 모든 POWER부를 제어하는 PCB를 말합니다.

콘버터부에는 다이오드가 평활회로부에는 콘덴서가 인버터부에는iGBT가 사용됩니다.



인버터를 왜 사용할까요?


1. 에너지 절약 
팬, 펌프 등의 요구 유량, 교반기 등의 부하 상태에 따라서 회전수를 제어 함으로써 구동전력을 절감하고, 자동화분야, 반송기의 정지 정도 향상, 라인 속도의 제어향상, 피이드백 제어 등에 의한 유량제어에 의해 자동화를 실현합니다.
2.보수성의 향상
공조기에 무리를 주지않는 기동정지, 무부하시의 저속운전에 의해 설비의 수명이 연장됩니다.
3. 설비의 소형화
고속화에 의한 설비의 소형화와 운전상태을 고려한 기계 시방에 의한 여유분의 삭감 등에 소형화를 실현합니다. 
4. 환경의 쾌적성
공조상태 등에 있어서 온.오프제어에서 속도제어에 의해 필요 유량을 연속 운전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유지합니다.
5. 저소음화 
부하에 맞추어 회전수를 낮춤으로써 기계, 바람의 소음을 저감시킵니다.



인버터 적용시 장점은?


- 가격이 싸고 보수가 용이한 농형 유도전동기로 가변속 운전이 됩니다.
- 전동기, 부하기계 구동계통의 개조가 불필요 하며 기계의 기능을 향상 시킵니다.
- 연속적인 광범위 가변속 운전이 가능합니다.
- 유도 전동기의 제어로 브러쉬, 슬립링등의 필요없이 보수성과 내환경성이 우수합니다.
- 임의 가감속 시간의 조정이 되고, 장시간에 걸쳐 가감속 운전이 쉽습니다.
- 시동전류가 저하됩니다.
- 전기적 제동이 용이합니다.(회생제동, 직류제동)



  인버터 결선도

 

 

 

 

 

 

 

 

 

'설계자료 > 기계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REW FEDDER의 선정  (0) 2013.02.27
황동 / 인청동  (0) 2013.02.27
송풍기의 종류  (0) 2012.10.12
분쇄기의 종류와 선정  (0) 2012.10.10
Key CAD 도면입니다  (1) 2012.10.10